본문 바로가기
역사 이야기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이 이순신 장군에게 일방적으로 진 이유​

by 우리즌 2022. 8. 7.
반응형

한산이라는 영화가 또 화제인 것 같습니다. ​왜 임진왜란 초기에 조선 육군을 일방적으로 유린했었는데 일본 수군은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에 일방적으로 패하고 파괴되었을까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이 이순신 장군에게 일방적으로 진 이유 목차​

1. 임진왜란 직전 일본 수군의 현황

2. 조선수군과 일본 수군의 전쟁방식 차이​

3. 판옥선과 안택선의 차이​

판옥선

1. 임진왜란 직전 일본 수군의 현황​

일본이 섬나라에 더해 근대화 이후 해군 전력이 강한 해양 강국이라는 이미지가 있어 막연히 옛날부터 해상 전력이 강했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에도시대 이전 일본은 해상 전력이 깡통이었습니다. 전국시대 토막토막 찢어져 내부적으로 밥그릇 싸움을 벌이는 전쟁 상황에서 바다의 침략이나 진출에 대비해야 할 전력 수요가 전무한 나라였습니다. 그러니까 현대로 치면 육군만 강하면 되는 나라였어요.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수군이라는 것은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왜구들입니다. 항해술이 뛰어나고 선상전투에 능할지 모르지만 대규모 전쟁을 치를 만한 전력화로 이어질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해군이란 지금도 그렇지만 돈 먹는 하마로 막강한 금권을 갖춘 정권이 장기간 투자하지 않으면 육성, 유지가 불가능한 전력입니다. 일본은 수군에 투자하는 그런 나라가 아니었습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대륙 정벌을 노렸지만 현해탄을 넘어 조선과 대적할 정도의 해상 전력 수준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이순신 장군이라는 대단한 분도 토요토미의 야망을 저진한 원인이었고, 특정 전장에서의 전술보다 본질적인 원인이 있지만,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2. 조선수군과 일본 수군의 전쟁방식 차이


​전국시대를 포함한 일본 수군의 주 임무는 병력 운송입니다. 일본 수군에서 사용되는 배도 군함에 특화된 설계와 장비를 갖추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적함과 해전을 벌인다는 개념보다는 무작정 병력을 싣고 상륙시킨 뒤 또는 상대방 배에 올라탄 뒤에 육전, 백병전으로 승부하는 것이 그들의 전쟁 방식입니다.

한편 고려, 조선은 이 왜구의 배를 상대로 전초전을 벌이면서 수군 전력을 육성한 나라입니다. 남, 서해안으로 쳐들어온 왜구와 국지전을 벌이면서 그들이 백병전에 강하다는 걸 알고 있었고, 가능하면 바다에서 쫓아내고 왜구의 상륙을 불허하는 전술의 필요성에 따라 수군의 전력과 교리를 닦아온 나라입니다.

한마디로 일본은 바다 싸움에서 만큼은 조선 수군 전력에 대해서 알지 못했습니다. 현대전으로 비교한다면 일본은 수송선과 상륙함 만으로 구성된 함대를 보내 구축함, 프리깃함으로 구성된 조선 함대와 싸워서 상륙전을 벌이려 했습니다. 그 경위와 전력의 차이가 임진왜란 수군 패배의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3. 판옥선과 안택선의 차이

​당시 일본해군은 원래 해적에게 뿌리가 있어 먹튀에 최적화된 첨저선 '관선'이었고, 조선 해군은 고려시대부터 화포로 해적들을 마구 때리기 위한 평저선이었습니다. 첨저선이 빠르고 부피도 큽니다. 해적 중에 첨저선을 탔다면 아마 규슈나 세토나이카이 쪽보다 중국과 교류하면서 중국 배를 몰던 놈들이 아닐까요? 그래서 일본해군의 주력 전술은 전통적으로 충선 후 덜컹 부서진 곳을 지나 사람의 배에 올라가 싸우는 바다 상륙전이었다고 들었습니다.

당시 일본 왜구들은 중국 필리핀 앞바다까지 휘젓고 다니던 대단한 해양강군이었습니다. 다만 해상 전투 방식이 갈고리 발톱을 걸고 상대방의 배위에 올라 제압하는 육박전인데, 조선 수군은 판옥선에서 대포로 적의 함선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여 해전에서 유리했다고 생각합니다. ​

아무래도 판옥선 vs 안택선이라면 속도냐 견고함이냐라는 말이 나지만 견고한 판옥선에서 쏘는 대포가 더 강하고 멀리 나갈 수 있기 때문에 화력면에서는 판옥선이 우위일 것입니다. 불리한 상황에서는 지형과 해류를 잘 이용하고 유리한 상황에서는 압도적인 화력의 차이를 보였고, 이것이 임진왜란 때 효과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영화 한산에서 아쉬웠던 부분 중 하나가 안택선에서 쏘는 대포와 판옥선에서 쏘는 대포가 물량 차이만큼 이겼다는 것처럼 보였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대포의 물량 차이도 있지만 대포 자체의 화력이 상당히 차이가 났는데 그게 명확하게 보이지 않아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또한 거북선을 활용해 일본 함선의 접근을 방해하고 적선에 오를 기회를 주지 않고 원거리에서 대포로 파괴하는 이순신 장군의 전술이 탁월했습니다. 같은 일이 1588년 스페인의 무적함대와 영국 해군 사이에서도 발생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거대 전함에서 항모 방식으로 현대해전이 바뀌었듯이 당시에도 해전 전술의 전환이 일어난 것입니다. 그것이 이순신 장군의 23전 전승 비결입니다.​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인생 관련 정보

일본에서 와키자카 이미지는 잡장 영주(다이묘)입니다.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이미지는고니시 유키나가랑 가토 기요마사에밀리고 세키가하라에서 배신한 이미지는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에게 밀

infoofurizun.tistory.com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